이뇨제의 고혈압 및 심부전 치료에서의 활용. 개요. 4

이뇨제의 고혈압 및 심부전 치료에서의 활용. 개요. 4

Can we help?

David Ellison, MD, a leading expert in diuretic therapy, explains the classification and specific applications of diuretics in hypertension and heart failure. He details the mechanisms of action for thiazide, loop, and potassium-sparing diuretics. Dr. Ellison highlights the groundbreaking ALLHAT trial (Antihypertensive and Lipid-Lowering Treatment to Prevent Heart Attack Trial), which established thiazide diuretics as first-line therapy for hypertension. He describes loop diuretics as highly effective for fluid removal, making them a cornerstone of heart failure management. The interview also covers strategies for addressing diuretic resistance, including combination therapy.

고혈압과 심부전에서의 이뇨제 치료: 종류, 사용법, 그리고 저항성

섹션 바로가기

고혈압 치료를 위한 티아자이드계 이뇨제

티아자이드계 이뇨제는 고혈압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 계열입니다. David Ellison 박사에 따르면, 이 약물들은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과 염화물의 동반수송 경로를 차단하여 작용합니다. 그 임상적 효능은 ALLHAT 임상시험을 비롯한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이 대규모 연구는 다양한 항고혈압제 계열을 비교했으며, 티아자이드계 이뇨제가 혈압 강하 효과에서 다른 약물 계열에 결코 뒤지지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Ellison 박사는 특히 티아자이드계 이뇨제가 심부전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로 인해 이 약물들은 1차 또는 2차 치료제로 권장되며, 고혈압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심부전 치료를 위한 루프 이뇨제

루프 이뇨제는 강력한 체액 제거 능력 덕분에 심부전의 1차 치료제로 쓰입니다. Ellison 박사는 푸로세마이드, 부메타니드, 토라세마이드 등이 헨레 고리의 두꺼운 상행각에서 작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신장의 이 부분은 여과된 염분의 약 25%를 재흡수하므로, 이를 표적으로 삼는 루프 이뇨제는 가장 효과적인 이뇨제로 꼽힙니다.

이들 약물은 그 효력이 뛰어나 ‘고천장 이뇨제’로도 불립니다. Ellison 박사는 치료 목표의 차이를 분명히 합니다: 심부전에서는 울혈 완화를 위해 염분과 체액을 제거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반면, 고혈압에서는 단순히 혈압을 낮추는 것이 목표입니다. 따라서 루프 이뇨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용량을 조정해 가며 효과적인 체액 제거를 도모합니다.

칼륨 보존 이뇨제와 MRA(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

알도스테론에 민감한 원위신단위나 집합관에서 작용하는 약물들은 또 다른 중요한 계열을 이룹니다. Ellison 박사는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RA)와 나트륨 채널 차단제(예: 아밀로라이드) 두 유형을 소개합니다. 두 유형 모두 약한 이뇨 효과를 보이지만, MRA는 심부전 치료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Ellison 박사는 MRA가 낮은 박출률을 동반한 심부전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킨다는 증거를 강조합니다. 사망률 감소 효과가 사용의 주된 이유이며, 이로 인해 MRA는 치료 지침에서 핵심 약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단순한 이뇨 목적이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과 예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쓰입니다.

SGLT2 억제제와 근위세뇨관 이뇨제

근위세뇨관에서 작용하는 이뇨제는 드물게 사용되지만, 최근 주목받는 새로운 계열이 등장했습니다. Ellison 박사는 나트륨-글루코스 동반수송체 2(SGLT2) 억제제를 언급합니다. 이 약물들은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되었지만, 근위세뇨관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억제해 이뇨 효과도 나타냅니다.

Ellison 박사는 다양한 질환에서 사망률을 개선하는 능력 때문에 이들을 ‘매혹적인 계열’로 평가합니다. 독특한 작용 메커니즘과 입증된 임상적 이점 덕분에, 원래 이뇨제로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심부전과 당뇨병 치료에서 그 쓰임새가 늘고 있습니다.

이뇨제 저항성 관리

이뇨제 저항성은 진행성 심부전에서 흔히 마주치는 난제로, 높은 사망률과 빈번한 재입원을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Ellison 박사는 환자들이 루프 이뇨제에 점차 반응을 잃어 고용량으로도 부종이 잘 가라앉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이런 경우 흔히 쓰는 효과적인 전략은 티아자이드계 이뇨제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실험실과 임상 현장 모두에서 입증된 이 병용 요법은 염분과 체액 제거를 현저히 증가시킵니다. Ellison 박사는 실제 사례로, 체액 과부하 상태의 심부전 환자에게 메톨라존(티아자이드계 이뇨제)을 추가했던 예를 언급합니다. 이 방법은 난치성 이뇨제 저항성을 다스리는 표준적 접근법입니다.

이뇨제 치료의 임상적 목표

심부전에서 이뇨제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심한 울혈을 해소하고 환자 예후를 개선하는 것입니다. Ellison 박사는 이뇨제 저항성이 있는 환자군이 특히 치료가 까다롭다고 지적합니다. 이들은 체액 과부하로 호흡곤란과 극심한 불편감을 겪으며, 재입원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Ellison 박사는 현재 심부전 치료의 주요 초점이 이런 환자들을 철저히 울혈에서 벗어나게 하는 더 나은 방법을 찾는 데 맞춰져 있다고 말합니다. 목표는 재입원의 악순환을 끊고 지속적인 완화를 제공해 삶의 질과 예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이뇨제 관리가 포괄적인 심부전 치료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전체 대본

Anton Titov 박사: 귀하는 고혈압과 심부전에서의 이뇨제 사용에 관한 세계적 권위자입니다. 심부전과 고혈압에 쓰이는 다양한 이뇨제 계열을 개괄적으로 소개해 주시고, 각 계열 간 주요 차이점도 설명해 주시겠어요?

David Ellison 박사: 물론이죠. 이뇨제들은 신장 세뇨관의 여러 부분에서 작용합니다. 사실 새로운 계열은 없고,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들입니다. 우리는 근위세뇨관, 헨레 고리, 원위세뇨관, 그리고 원위신단위나 집합관에서 수송을 막는 약물들을 가지고 있죠. 근위세뇨관 이뇨제는 드물게 쓰이긴 하지만, 최근 주목받는 약물이 하나 있습니다. 원래 이뇨제로 개발된 건 아니지만 이뇨 작용을 보이는데, 바로 SGLT2 억제제입니다.

이 약물들은 근위세뇨관에서 포도당 뿐 아니라 나트륨 수송도 억제합니다. 다양한 질환에서 사망률을 개선하는 흥미로운 계열이라, 우리도 쓰는 데 매우 기대가 큽니다.

고혈압의 경우, 가장 흔히 쓰이는 이뇨제는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염화물 동반수송을 차단하는 티아자이드계입니다. 이들의 널리 쓰임은 수십 년 전 진행된 ALLHAT 임상시험 결과에 기반합니다. 이 연구는 여러 항고혈압제 계열을 비교했는데, 티아자이드계 이뇨제가 혈압 강하 효과에서 다른 계열과 동등했을 뿐 아니라, 심부전 예방 측면에서 추가 이점까지 보였습니다. 그래서 1차 또는 2차 치료제로 권장되며,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심부전에서는 보통 헨레 고리의 두꺼운 상행각에서 작용하는 루프 이뇨제로 시작합니다. 푸로세마이드, 부메타니드, 토라세마이드 등이 여기 속하죠. 이 부위는 염분 부하의 25% 가량을 재흡수하므로, 여기를 표적으로 삼는 루프 이뇨제가 가장 강력한 이뇨제입니다. 그래서 ‘고천장 이뇨제’로도 불리며, 심부전의 1차 치료제로 선택됩니다.

심부전 치료의 주된 목표는 체내 염분과 체액을 제거해 울혈을 완화하는 것이고, 고혈압 치료는 단순히 혈압을 낮추는 것임을 구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루프 이뇨제는 환자 상태에 맞게 용량을 조정해 씁니다.

또 다른 계열은 알도스테론에 민감한 원위신단위나 집합관에서 작용하는 약물들입니다. 크게 두 유형인데,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를 차단하는 MRA와 나트륨 채널을 막는 약물(예: 아밀로라이드)이 있습니다. 둘 다 약한 이뇨 효과가 있지만, MRA는 낮은 박출률을 동반한 심부전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킨다는 점에서 특별합니다. 우리가 이들을 쓰는 주된 이유는 사망률 감소 효과이며, 환자가 더 오래 건강하게 살도록 돕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심부전에서 주로 쓰는 두 계열은 체액을 줄이기 위한 루프 이뇨제와, 예후 개선을 위한 MRA입니다. 하지만 다른 계열을 안 쓴다는 뜻은 아닙니다. 환자들이 루프 이뇨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때로는 다른 계열로 전환하거나 추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실험실과 임상에서 모두 입증된 바와 같이, 루프 이뇨제에 반응하지 않는 부종이 있을 때 티아자이드계 이뇨제를 추가하면 체액과 염분 제거가 현저히 늘어나 환자가 정상적인 염분平衡으로 돌아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는 이를 정기적으로 활용합니다. 어제도 체액 과부하 상태의 심부전 환자에게 메톨라존을 추가했죠. 흔히 쓰는 방법입니다.

더불어, 저항성 있는 환자들에게는 근위세뇨관 이뇨제 사용을 검토하기도 합니다. 이뇨제 저항성이 생긴 심부전 환자들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집단이며, 사망률이 높고 재입원도 잦습니다. 요즘은 이런 환자들을 울혈에서彻底히 벗어나게 할 방법을 찾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체액 과적재로 호흡곤란과 불편감을 겪으며 계속 입원하는 악순환을 끊고, 삶의 질과 예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현재 심부전 치료의 핵심 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