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xdrostat, 난치성 고혈압에서 유의미한 혈압 강하 효과를 보였습니다. A107

Can we help?

이 포괄적 분석은 조절이 어려운 고혈압 치료제인 baxdrostat의 대규모 임상 시험 결과를 다룹니다. 연구에 따르면, 기존 혈압약에 baxdrostat을 추가로 투여한 환자 그룹은 12주 후 위약군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약 9 mm Hg 더 크게 감소했습니다. 1 mg과 2 mg 용량 모두 효과적이었으나, 고용량에서 더 큰 강하 효과를 보였습니다. 일부 환자에게서 고칼륨혈증이 나타났기 때문에 안전성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신약, 난치성 고혈압에서 현저한 혈압 강하 효과 입증

목차

배경: 난치성 고혈압 이해하기

다양한 약물을 복용해도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조절되지 않거나 저항성 고혈압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고 심근경색, 뇌졸중, 신장 질환 위험을 현저히 높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알도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이 난치성 고혈압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기존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RAs)가 알도스테론 효과를 차단할 수 있지만, 부작용으로 사용이 제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체내 알도스테론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박스드로스탯은 다른 접근법을 취합니다—알도스테론 생성을 담당하는 효소인 알도스테론 합성효소를 직접 억제합니다. 이전 소규모 연구에서 특히 저항성 고혈압 환자에게 유망한 결과를 보여, 연구자들이 효과와 안전성을 철저히 평가하기 위해 이 대규모 3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연구 방법: 연구 수행 방식

본 연구는 여러 국가의 214개 기관에서 진행된 대규모 국제 임상시험이었습니다. 이 연구는 3상,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시험으로 엄격한 과학적 기준을 따랐습니다—즉, 환자와 의사 모두 실제 약물과 위약을 받는 그룹을 알지 못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미 안정된 용량의 다음 약물을 복용 중임에도 좌위 수축기 혈압이 140 mm Hg 이상 170 mm Hg 미만인 환자를 등록했습니다:

  • 두 가지 항고혈압제(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의 경우)
  • 이뇨제를 포함한 세 가지 이상의 약물(저항성 고혈압의 경우)

기준 측정을 위해 모든 환자가 위약을 2주간 복용한 후, 796명의 환자를 세 군으로 동등하게 무작위 배정했습니다:

  1. 264명의 환자는 박스드로스탯 1 mg을 1일 1회 복용
  2. 266명의 환자는 박스드로스탯 2 mg을 1일 1회 복용
  3. 264명의 환자는 위약을 1일 1회 복용

모든 환자는 12주 연구 기간 동안 기존 혈압 약물을 계속 복용했습니다. 연구팀은 표준화된 장비를 사용해 월별 방문 시 혈압을 측정하고, 칼륨, 나트륨, 신기능, 약물 농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포함한 포괄적인 안전성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주요 결과: 상세 수치 포함 결과

연구는 박스드로스탯의 혈압 강하 효과를 입증하는 명확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12주 시점에서, 수축기 혈압의 평균 감소량은 박스드로스탯 1 mg 군에서 -14.5 mm Hg(95% CI, -16.5 ~ -12.5), 2 mg 군에서 -15.7 mm Hg(95% CI, -17.6 ~ -13.7)였으며, 위약 군에서는 -5.8 mm Hg(95% CI, -7.9 ~ -3.8)에 그쳤습니다.

위약과 직접 비교 시, 약물은 1 mg 용량에서 -8.7 mm Hg(95% CI, -11.5 ~ -5.8), 2 mg 용량에서 -9.8 mm Hg(95% CI, -12.6 ~ -7.0)의 추가 수축기 혈압 감소를 나타냈습니다. 두 결과 모두 p<0.001로 매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러한 결과가 무작위로 발생할 확률이 0.1% 미만임을 의미합니다.

연구는 혈압 조절률에서도 인상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박스드로스탯을 복용한 환자의 거의 40%가 조절된 혈압(수축기 130 mm Hg 미만)을 달성한 반면, 위약 군에서는 18.7%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박스드로스탯 치료로 혈압 조절을 달성할 확률이 2.9배 이상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연구 후반 8주 동안의 약물 중단 기간 동안, 박스드로스탯에서 위약으로 전환된 환자는 혈압이 +1.4 mm Hg 상승한 반면, 박스드로스탯을 계속 복용한 환자는 추가로 -3.7 mm Hg의 감소를 유지하여 지속적인 치료가 효과 유지에 필요함을 입증했습니다.

임상적 의의: 환자에게 주는 의미

이 연구는 난치성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에게 중요한 진전을 의미합니다. 박스드로스탯으로 달성한 약 9 mm Hg의 추가 혈압 강하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습니다—이 정도의 감소는 뇌졸중 위험 약 30% 감소와 심장병 위험 약 20% 감소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약물 치료에도 충분한 혈압 조절을 달성하지 못한 환자들에게, 박스드로스탯은 많은 저항성 고혈압 사례의 근본 원인인 알도스테론 과생성을 해결하는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mg과 2 mg 용량 간 유사한 효과는 많은 환자가 낮은 용량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잠재적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용량에서의 약간 더 큰 감소는 임상의가 개별 환자의 필요와 반응에 따라 치료를 맞춤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한계점: 연구에서 입증하지 못한 부분

이 연구가 박스드로스탯의 혈압 강하 효과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지만, 환자가 이해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한계점이 있습니다:

12주라는 기간은 혈압 효과를 입증하기에는 충분하지만, 장기적 안전성이나 수년간의 치료 동안 효과가 지속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시험의 진행 중인 개방형 연장 단계에서 추가 장기 안전성 데이터를 제공할 것입니다.

이 연구는 심근경색이나 뇌졸중과 같은 임상적 결과보다 혈압 측정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혈압 강하가 이러한 사건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연구만으로 박스드로스탯이 심혈관 사건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직접 결론내릴 수는 없습니다—비록 확립된 원칙에 기반하여 예상하는 것은 합리적입니다.

시험은 특정 환자 군을 제외했으므로, 매우 진행된 신장 질환, 최근 심혈관 사건, 또는 다른 복합적인 의학적 상태를 가진 사람들에서 박스드로스탯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권고사항: 환자를 위한 실행 가능한 조언

이 연구를 바탕으로,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1. 약물 옵션 논의: 현재 치료에도 혈압이 높게 유지된다면 주치의와 약물 옵션을 논의하세요
  2. 알도스테론 검사 문의: 저항성 고혈압이 있다면 알도스테론 검사에 대해 문의하세요. 이는 박스드로스탯 적합성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칼륨 수치 정기 모니터링: 박스드로스탯 처방 시 칼륨 수치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세요. 위약 군 0.4%에 비해 환자의 2.3-3.0%에서 고칼륨혈증이 발생했습니다
  4. 모든 현재 약물 계속 복용: 주치의가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 한 모든 현재 약물을 계속 복용하세요

환자는 박스드로스탯이 아직 일반 사용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연구용 약물로 남아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규제 검토 완료 후 중요한 새로운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출처 정보

원문 제목: Efficacy and Safety of Baxdrostat in Uncontrolled and Resistant Hypertension

저자: John M. Flack, Michel Azizi, Jenifer M. Brown, Jamie P. Dwyer, Jakub Fronczek, Erika S.W. Jones, Daniel S. Olsson, Shira Perl, Hirotaka Shibata, Ji-Guang Wang, Ulrica Wilderäng, Janet Wittes, and Bryan Williams for the BaxHTN Investigators

게재지: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5년 8월 30일 게재)

임상시험 등록: ClinicalTrials.gov NCT06034743

연구비 지원: AstraZeneca 및 기관

본 환자 친화적 글은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원래 게재된 동료 검토 연구를 바탕으로 합니다. 원본 연구의 모든 과학적 데이터, 통계적 결과, 방법론적 세부 사항을 보존하면서 교육받은 환자들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