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 이식의 장기적 결과: 포괄적 환자 가이드. A87

Can we help?

다발성 경화증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한 줄기세포 이식 연구에 따르면, 이 강력한 치료법이 많은 환자에게 장기적인 질병 조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발-완화형 환자의 경우 85.5%가 5년 후에도 장애 악화 없이 상태를 유지했으며, 상당수 환자에서는 오히려 장애 점수가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BEAM+ATG 제체 요법(조건화 치료법)을 적용한 군에서 유의미하게 우수한 결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이 치료법은 1.4%의 초기 사망률과 같은 위험을 동반하지만, 2007년 이후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는 사망 사례가 없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전성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 이식의 장기적 결과: 환자를 위한 종합 가이드

목차

서론: 본 연구의 중요성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면역체계가 신경 섬유의 보호막을 잘못 공격하는 만성 신경계 질환입니다. 많은 치료법이 단기적으로 질병 활동을 줄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에게 장기적 관해(寛解)를 이루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입니다.

기존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절반 이상이 10년 이상에 걸쳐 장애가 누적됩니다. 특히 심각한 재발이나 빠른 장애 진행을 보이는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 이는 큰 우려사항입니다.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HSCT)은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이 강력한 치료는 환자 자신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면역체계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목표는 자가 공격 면역세포를 제거하고 지속적인 내성을 확립하는 것입니다.

이탈리아에서 진행된 본 연구는 aHSCT가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 지속적이고 약물 없이 질병 관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 가장 규모 크고 장기적인 연구 중 하나입니다.

연구 방법: 연구 수행 방식

연구진은 1997년부터 2019년 사이 이탈리아에서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210명의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다기관 관찰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모든 환자는 기존 치료에 충분히 반응하지 않는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었습니다.

연구 참가를 위해 환자의 나이, 다발성 경화증 유형, 치료 전 장애 점수(Expanded Disability Status Scale, EDSS), 이식 절차 상세 정보, 그리고 이식 후 최소 한 번의 추적 방문 기록을 포함한 완전한 데이터가 필요했습니다.

치료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습니다:

  1.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와 필그라스팀(filgrastim)을 이용한 줄기세포 동원
  2. 백세포분리채집(leuko-apheresis)을 통한 줄기세포 채취
  3. 채취된 줄기세포의 동결 보관
  4. 면역체계 억제를 위한 전처리 화학요법(conditioning chemotherapy)
  5. 환자 자신의 줄기세포 재주입

여러 전처리 요법이 사용되었으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BEAM+ATG(환자의 74.8%)였습니다. 이 프로토콜에는 카르무스틴(carmustine), 시토신-아라비노사이드(cytarabine), 에토포시드(etoposide), 멜팔란(melphalan), 그리고 항-티모사이트 글로불린(anti-thymocyte globulin) 등 다양한 화학요법 약물이 포함됩니다.

환자들은 평균 6.2년(표준편차 최대 5년 범위) 동안 추적 관찰되어, 이는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 이식 연구 중 가장 긴 추적 기간에 속합니다.

주요 결과: 상세 수치와 함께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210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습니다:

  • 122명(58%)의 재발-관해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Remitting MS, RRMS) 환자
  • 86명(41%)의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econdary Progressive MS, SPMS) 환자
  • 2명(1%)의 원발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rimary Progressive MS, PPMS) 환자
  • 중간 기초 장애 점수(EDSS) 6점(범위 1-9)
  • 83.3%가 상세한 치료 이력 정보 보유

장애 결과:

전체 환자에서 장애 악화 없이 생존한 비율은 5년 후 79.5%, 10년 후 65.5%였습니다. 이는 치료 5년 후 거의 10명 중 8명의 환자가 중대한 장애 진행을 피했음을 의미합니다.

결과는 다발성 경화증 유형에 따라 크게 달랐습니다. 재발-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특히 우수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 5년 후 장애 악화 없이 생존한 비율 85.5%(95% 신뢰구간: 76.9%-94.1%)
  • 10년 후 71.3%(95% 신뢰구간: 57.8%-84.8%)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애 점수가 실제로 개선됨
  • 연간 평균 EDSS 변화 -0.09(95% 신뢰구간: -0.15 ~ -0.0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p=0.001)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도 혜택을 보았습니다:

  • 5년 후 장애 악화 없이 생존한 비율 71.0%(95% 신뢰구간: 59.4%-82.6%)
  • 10년 후 57.2%(95% 신뢰구간: 41.8%-72.7%)
  • 장애 점수가 안정화되어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악화 없음(p=0.42)

재발 및 MRI 활동성:

재발-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경우, 재발 없이 생존한 비율은 5년 후 78.1%, 10년 후 63.5%였습니다. BEAM+ATG 프로토콜은 특히 강력한 결과를 보여 5년 후 재발 없이 생존한 비율 86.4%, 10년 후 77.0%를 기록했습니다.

치료 프로토콜 차이:

BEAM+ATG 전처리 프로토콜은 질병 활동성 예방에 있어 우수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 프로토콜을 받은 환자들은 다른 프로토콜 대비 NEDA-3 실패(질병 활동성 없음을 측정하는 복합 지표) 위험이 73% 낮았습니다 [위험비=0.27 (0.14-0.50), p<0.001].

안전성 데이터:

3명의 환자(1.4%)가 이식 후 100일 이내에 사망했으며, 이는 치료 관련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2007년 이후 이식받은 환자에서는 사망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전성 프로토콜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임상적 의의: 환자에게 주는 의미

이 연구는 줄기세포 이식이 많은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 장기적 질병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이 치료는 재발-관해형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진행을 멈출 뿐만 아니라 일부 장애를 실제로 역전시킬 수도 있습니다.

재발-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장애 점수가 10년 이상에 걸쳐 개선되었다는 발견은 주목할 만합니다. 연간 평균 EDSS 점수 0.09점 감소는 작아 보일 수 있지만, 수년에 걸쳐 누적되면 환자에게 의미 있는 기능적 개선을 가져옵니다.

BEAM+ATG 프로토콜의 우수한 성능은 치료 기술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이 치료를 고려하는 환자들은 의료팀과 특정 프로토콜 세부 사항을 논의해야 합니다.

안전성 프로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개선되어, 2007년 이후 치료받은 환자에서는 사망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광범위한 경험과 현대적 프로토콜을 가진 센터들이 적절하게 선별된 환자들에게 허용 가능한 위험으로 이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구의 한계: 증명하지 못한 부분

이 연구에는 환자들이 이해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한계가 있습니다. 무작위 대조 시험이 아닌 관찰 연구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확정적으로 증명할 수 없습니다. 환자들은 치료군과 표준 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에는 기존 치료에 실패한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만 포함되었습니다. 덜 공격적인 질환 형태를 가진 환자들이나 질병 초기 단계에 있는 환자들에게는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치료 프로토콜은 센터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다양했으며, 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의 안전성 개선은 경험과 프로토콜 개선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MRI 데이터는 환자의 79.5%에서만 사용 가능했으며, 추적 기간은 참가자들마다 다양했습니다. 10년을 넘어서는 장기 데이터는 반응의 지속성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중요할 것입니다.

환자 권고사항: 실행 가능한 조언

이 연구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다음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적격성 논의: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공격적인 다발성 경화증이 있다면, 신경과 전문의에게 줄기세포 이식 후보가 될 수 있는지 문의하세요
  2. 경험 많은 센터 찾기: 최근 몇 년간 그리고 경험 많은 센터에서의 개선된 안전성 결과는 광범위한 프로토콜 경험을 가진 시설에서의 치료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 프로토콜 차이 이해: 특정 전처리 프로토콜에 대해 문의하세요. BEAM+ATG 접근법이 이 연구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4. 시기 고려: 재발-관해기 동안 더 일찍 치료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들이 안정화와 개선 모두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5. 위험과 이점 저울질: 절차에는 위험이 따르지만, 적절한 후보자들에게는 장기적 약물 없이 관해 가능성이 고려할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현실적인 기대를 가져야 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장기적 관해를 경험하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치료는 강도가 높으며 단기적 위험과 장기적 잠재적 이점 모두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출처 정보

원문 제목: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Multiple Sclerosis

저자: Giacomo Boffa, Luca Massacesi, Matilde Inglese, Alice Mariottini, Marco Capobianco, Moiola Lucia, Maria Pia Amato, Salvatore Cottone, Francesca Gualandi, Marco De Gobbi, Raffaella Greco, Rosanna Scimè, Jessica Frau, Giovanni Bosco Zimatore, Antonio Bertolotto, Giancarlo Comi, Antonio Uccelli, Alessio Signori, Emanuele Angelucci, Chiara Innocenti, Fabio Ciceri, Anna Maria Repice, Maria Pia Sormani, Riccardo Saccardi, Gianluigi Mancardi on behalf of the Italian BMT-MS study group

게재처: AperTO - Archivio Istituzionale Open Access dell'Università di Torino

참고: 이 환자 친화적인 글은 신경학 문헌에 원래 게재된 동료 검토 연구를 바탕으로 합니다. 정보는 환자 교육을 위해 번역되었으나 모든 원본 데이터와 결과를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