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치료에서 '기존'과 '신형' 티아자이드 이뇨제,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티아자이드 이뇨제는 고혈압 치료의 오랜 표준 치료제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고혈압 치료에서 '기존'과 '신형' 티아자이드 이뇨제,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티아자이드 이뇨제는 고혈압 치료의 오랜 표준 치료제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Can we help?

신장학 및 고혈압 분야의 권위자인 David Ellison 박사(MD)가 고혈압 치료 시 기존 및 신형 티아자이드 계열 이뇨제 선택법을 설명합니다. 주요 임상 시험인 HYVET 등을 인용하며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와 클로르탈리돈 간의 논쟁을 다룹니다. 노인 환자에서 저칼륨혈 및 기립성 저혈압 같은 부작용 관리에 대한 그의 임상 접근법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고혈압 치료를 위한 적절한 티아자이드 이뇨제 선택

섹션 바로가기

티아자이드 이뇨제 비교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는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기존 티아자이드 이뇨제와 신형 티아자이드 유사 이뇨제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그는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가 대표적인 고전적 티아자이드 계열인 반면, 클로르탈리돈과 인다파미드는 신형 티아자이드 유사 이뇨제로 분류된다고 말합니다. 직접 비교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어떤 약물이 더 나은 혈압 조절 효과와 적은 부작용을 제공하는지에 대해 고혈압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입니다.

고혈압에서의 임상 증거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는 다양한 티아자이드 이뇨제를 뒷받침하는 임상 시험 결과를 논의합니다. 그는 고령자 고혈압 시험(HYVET)에서 인다파미드가 뇌졸중 및 기타 심혈관 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춘 점을 언급합니다. 또한 클로르탈리돈이 주요 고혈압 연구에서 효과성을 입증했다고 설명합니다. 상황적 증거는 클로르탈리돈이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직접 비교 무작위 대조 시험을 통해 명확히 입증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지역별 처방 양상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는 티아자이드 이뇨제 처방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차이를 지적합니다. 미국에서는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와 클로르탈리돈 중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클로르탈리돈은 장기작용 특성으로 선호됩니다. 반면 유럽 국가들은 고혈압 치료에 인다파미드를 더 흔히 처방합니다. 이러한 지역적 선호도는 특정 약물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명확한 증거보다는 진료 관행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뇨제 부작용 관리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는 티아자이드 이뇨제의 부작용, 특히 저칼륨혈증 관리에 대한 자신의 임상 접근법을 공유합니다. 그는 환자들에게 칼륨 고갈을 예방하기 위해 고칼륨 식이를 권장합니다. 식이 조절만으로 부족할 경우, 스피로놀락톤이나 트리암테렌 같은 칼륨 보존 이뇨제를 추가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 전략은 혈압 조절과 전해질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노인 고혈압 치료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는 노인 환자의 고혈압 치료 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룹니다. 기립성 저혈압이 이 연령대에서 주요 우려 사항이지만, 임상 자료에 따르면 티아자이드 이뇨제가 다른 항고혈압제보다 실신을 더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적절히 치료될 경우 노인 환자도 티아자이드 이뇨제 요법으로부터 분명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향후 연구 방향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는 티아자이드 이뇨제 논쟁을 해결할 수 있는 진행 중인 연구를 소개합니다. 재향군인청(VA) 후원 무작위 대조 시험을 통해 다양한 이뇨제 계열을 비교하는 확실한 증거가 나올 것이라고 말합니다. 안톤 티토프 박사(의학박사)와 함께 이 결과에 큰 관심을 표하며, 고혈압 치료에서 티아자이드 이뇨제 선택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이 연구는 증거 기반 치료 결정에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것입니다.

전체 전문

안톤 티토프 박사(의학박사): 고혈압 치료를 위해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같은 고전적 티아자이드 이뇨제와 클로르탈리돈, 인다파미드, 메톨라존 같은 신형 티아자이드 유사 이뇨제를 어떻게 비교하시나요? 특히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중요한 임상 시험이 있었습니다.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 다양한 이뇨제 계열을 비교하는 무작위 대조 시험(RCT)이 매우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클로르탈리돈이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보다 항고혈압 효과가 더 뛰어나다는 상황적 증거는 있지만, 아직 확정적이지 않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클로르탈리돈이 과도한 부작용과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어요. 그래서 어느 계열이 더 나은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클로르탈리돈을 장기작용 티아자이드로 사용하는 반면, 유럽에서는 인다파미드를 더 많이 처방합니다. 저는 인다파미드를 직접 사용해 본 적은 없지만, 이런 지역적 차이는 흥미롭습니다. 미국에서는 주로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아니면 클로르탈리돈을 선택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VA 후원 무작위 대조 시험이 이 질문에 명확한 답을 줄 것이라 기대합니다. 많은 의사들이 클로르탈리돈을 효과적인 약물로 믿어 왔지만,最近 사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어요. 이번 연구로 논쟁이 종식되길 바랍니다.

노인 고혈압에 관해 말씀하셨는데, 여러 대규모 시험이 수행되었습니다. CHEP 시험은 클로르탈리돈을, HYVET 시험은 인다파미드를 검증했습니다. HYVET(고령자 고혈압 치료 시험)은 두 약물이 뇌졸중 및 기타 부작용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클로르탈리돈 사용에 대한 우려는 사실 없을 거라고 봅니다. 제個人적인 진료 패턴은 이 약물들을 훌륭하게 평가하지만, 저칼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고칼륨 식이를 권장하고 필요시 스피로놀락톤이나 트리암테렌 같은 칼륨 보존 이뇨제를 추가합니다.

반면 신장 질환 등 다른 적응증이 있는 경우에는 보통 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노인 환자에게 티아자이드형 이뇨제, 특히 클로르탈리돈 사용을 꺼리지 않습니다. 노인들이 이 계열의 약물로부터 이점을 얻는다는 증거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노인 치료에서 흔한 우려 중 하나는 기립성 저혈압입니다. 어제 진료에서도 이런 환자에 대해 논의했는데,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혈관 확장제에 더 신경 쓰는 편이지만, 티아자이드 사용 데이터를 보면 다른 계열의 약물보다 실신을 더 유발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이런 환자들에게도 사용을 피하지는 않습니다.

안톤 티토프 박사(의학박사): 제가 언급한 HYVET 임상 시험은 인다파미드를 검증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럽과 이스라엘에서 널리 사용되죠.

데이비드 엘리슨 박사(의학박사): 네, 제가 처음에 클로르탈리돈이라고 말했지만, HYVET에서는 인다파미드가 사용되었을 거예요. 인다파미드와 클로르탈리돈을 상당히 유사하게 봅니다. 하지만 두 약물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없는 것 같아요. 흥미로운 점이죠.

우리나라 약품 목록에는 인다파미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선택지가 제한적입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그 약에 대해 많이 생각하지 않게 되네요.